본문 바로가기

경상남도/창녕

창녕 영산 얼음썰매장 방문 후기, 겨울철 아이들과 함께 떠나기 좋은 곳

겨울이 되면 자연스럽게 생각나는 놀이 중 하나가 바로 얼음썰매 아닐까요? 어릴 적 얼음판 위에서 썰매를 밀고 당기며 신나게 놀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릅니다.

최근 아이들과 함께 경남 창녕 영산 얼음썰매장에 다녀왔는데요. 이곳은 겨울철 창녕에서 꼭 한 번쯤 가볼 만한 곳으로, 전통 얼음썰매를 무료로 즐길 수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인기가 많았습니다.

아쉽게도 2025년 운영 기간은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였기에, 지금은 공식 운영이 종료된 상태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얼음이 녹지 않은 곳에서는 개인 썰매를 가져와 타는 분들이 많았는데요. 저도 직접 다녀온 생생한 후기를 남겨볼게요.

 

창녕 낙동강 남지 유채꽃 축제 축제일정 및 기간은? 어디서 진행?

창녕 남지 유채꽃 축제전 다녀온 후기

창녕 가볼만한 곳 '번지없는주막' 산뷰 맛집 금강산도 식후경인 곳

창녕 아이랑 가볼만한 곳 창녕박물관 사진찍기 좋은 곳

 

창녕 영산 얼음썰매장 운영 기간 및 위치

운영 기간: 2025년 1월 1일 ~ 1월 31일
운영 시간: 오전 9시 ~ 오후 4시
위치: 경남 창녕군 영산면 동리 433 (만년교 인근)
입장료: 무료

창녕 영산 얼음썰매장은 한 달 동안만 운영되며, 자연 상태에서 얼어붙은 넓은 연못을 활용해 썰매를 즐길 수 있습니다. 입장료가 무료라는 점이 큰 장점이며, 간이 매점도 있어 간단한 간식거리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직접 방문해본 후, 분위기는 어땠을까?

저는 1월 중순쯤 다녀왔는데요. 주말이라 그런지 가족 단위 방문객이 많았고, 아이들은 썰매를 타며 깔깔대며 웃고, 부모님들은 그 모습을 흐뭇하게 지켜보는 풍경이 펼쳐졌습니다.

요즘은 아이들이 스마트폰과 실내 놀이시설에 익숙해져 있어서 이런 전통 놀이를 직접 경험하는 것이 쉽지 않잖아요? 그래서 더 의미 있는 시간 같았습니다.

어제 잠시 영산 얼음 썰매 장소를 방문해 보았는데요. 축제 기간이 끝난 이후에도 사람들이 각자 집에서 가져온 썰매나 바구니 등을 이용해 얼음 위를 미끄러지는 모습이 보이더라고요.

어떤 분들은 긴 끈을 이용해 직접 끌어주는 모습도 보였고요. 공식적인 운영이 종료되었지만, 아직 남아있는 얼음을 이용해 나름의 방법으로 겨울을 즐기는 모습이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얼음썰매를 즐기기 위한 꿀팁

혹시 내년을 기약하며 방문을 고려하고 계신다면 몇 가지 을 드릴게요!

  1. 따뜻한 옷 필수
    겨울철 야외에서 오래 머물다 보면 발이 금방 시려워집니다. 특히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수 기능이 있는 방한 부츠를 준비하면 더욱 좋겠죠.
  2. 개인 썰매를 챙겨가자
    운영 기간 내에는 대여가 가능하지만, 운영 종료 후에도 방문하고 싶다면 개인 썰매나 튜브, 끈이 달린 바구니 등을 챙겨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3. 간식 챙기기
    썰매를 타다 보면 금방 배가 고파지는데요. 현장에는 라면, 음료수, 쌀보리강정 등을 파는 간이 매점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하지만 사람이 몰릴 경우 기다려야 하니, 미리 간식을 준비해 가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4.  

 

창녕 영산 얼음썰매장, 가족과 함께 떠나기 좋은 곳

창녕 영산 얼음썰매장은 겨울철 가족 단위 나들이 장소로 강력 추천할 만한 곳입니다. 자연 속에서 전통 썰매를 즐기며 색다른 겨울 추억을 만들 수 있었던 시간이었는데요.

비록 공식적인 운영은 종료되었지만, 얼음이 녹지 않는 한 개인 썰매를 활용해 방문하는 것도 가능할 듯합니다. 내년 겨울에도 다시 한번 방문하고 싶을 정도로 만족스러웠던 경험이었어요.

혹시 겨울철 가볼 만한 곳을 찾고 계신다면, 다음 시즌 창녕 영산 얼음썰매장을 기억해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방문 후기였고,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창녕 낙동강 남지 유채꽃 축제 축제일정 및 기간은? 어디서 진행?

창녕 남지 유채꽃 축제전 다녀온 후기

창녕 가볼만한 곳 '번지없는주막' 산뷰 맛집 금강산도 식후경인 곳

창녕 아이랑 가볼만한 곳 창녕박물관 사진찍기 좋은 곳

반응형